Skip to content Skip to footer

대한민국 경기도

대한민국 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

Our Mission

"인간과 지구를 위한 혁신"

우리는 산업, 경제, 사회, 그리고 우리의 삶에 큰 변화를 초래할 AI와 4차산업혁명시대에 정부 및 기업, 학계, 시민사회를 연결하고, 인간과 지구를 위한 혁신과 문제해결을 통해 세상의 발전에 기여합니다.

새로운 정보 / 이야기

C4IR Korea - '인간과 지구를 위한 한국혁신센터'

C4IR Korea는?

한국(경기도) 4차산업혁명센터(Korea Cent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4IR Korea)는 2024년 6월 경기도와 세계협력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간 협약 체결에 따라 2025년 1월 경기도 판교에 설립되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AI 및 4차산업혁명 대응 전문 기관입니다. 

한국 센터는 세계경제포럼 약 1,000명의 우수 인력들이 만들고 운영하는 광범한 최고급 정보 자료들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공유하면서, 한국 산업과 혁신의 중심지인 경기도의 지원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경기도)을 포함하여 전세계 약 20개국, 세계경제포럼과 함께 4차산업혁명센터 설립 

각국은 AI와 4차산업혁명 총력 대응

  • 작년부터 올해까지 한국(경기도)을 비롯하여, 독일(베를린), 프랑스(파리), 영국(런던), 베트남(호치민) 등 약 10개 센터 설립(또는 설립 예정) 
  • 미국, 인도, 말레이시아,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스라엘  등 기 설립된 센터에 더해 금년말까지 전세계 약 25개 센터 운영 예상

4차산업혁명센터(C4IR) 네트워크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대화와 협력을 위한 미래 지향적 글로벌 플랫폼인 C4IR은 기하급수적 기술을 탐색하고 책임감 있는 도입과 적용을 추진하며 독립적인 국가 및 주제별 센터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C4IR in numbers, 2024
 

한국 센터의 주요 역할

한국 센터의 중점 분야

Icon

AI 기반 (AI-powered)

스타트업 (Start-ups)

AI와 4차산업혁명시대, 스타트업들의 기회 포착과 세계 진출 지원

첨단 제조 (Advanced Manufacturing)

첨단 제조업 성장 및 스마트 공장 촉진

기후변화 대응 (Climate Adaptation)

기후변화 대응 확산 및 에너지 대안 모색

C4IR Korea 뉴스레터

한국 센터가 엄선 또는 정리한 이슈 브리프, 글로벌 리더 인터뷰, 기타 유용한 정보
2025년 노벨상 수상자 명단과 그들의 업적이 중요한 이유 (These are the Nobel Prize winners of 2025 – and why their work matters)
2025년 노벨상 수상자가 모두 발표되었습니다. 그중에는 기술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어떻게 이끄는지 보여준 경제학자 세 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침팬지의 어머니’ 제인 구달의 마지막 메시지
본 자료는 500만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과학과 기술‘침팬지의 어머니’로 불리는 제인 구달 박사가 향년 91세로 2025년 10월 1일 별세했습니다. 1934년 영국에서 태어난 구달 박사는 아프리카로 건너가 평생을…
AI는 잠깐 잊어라, 로봇이 온다! (Forget AI, The Robots Are Coming!)
AI와 결합한 인간형 로봇의 급부상: 생성형 AI의 멀티모달 기능 덕분에 로봇이 실제 환경을 인식·이해·행동할 수 있게 되면서, 인간형 로봇이 실질적으로…
피지컬 AI가 제조업을 변화시키고 있다:지능형 로봇 시대 (Physical AI is changing manufacturing – intelligent robotics)
피지컬 AI는 산업 자동화의 새로운 국면을 주도하며 비용 상승, 인력 부족, 변화하는 고객 요구와 같은 제조업 과제에 대한 강력한 해결책을…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한다. 그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Young people can’t find jobs. What should they do?)
LinkedIn 아니쉬 라만 부사장과의 인터뷰 지식경제의 종말과 새로운 전환기: 학위나 전공만으로는 더 이상 안정적 일자리를 보장받을 수 없으며, AI가 직무를…
“동아시아는 어떻게 반도체를 장악했는가” (How East Asia Won Semiconductors)
정부 주도의 전략적 산업정책: 일본, 한국, 대만, 중국은 반도체를 국가 전략 산업으로 규정하고 적극적인 산업정책을 통해 육성하여 글로벌 경쟁 우위를…
2025년 세계의 변곡점을 설명하는 7가지 차트 (7 charts that explain the global inflection points of 2025, so far)
올해는 지정학적 불안정성 심화, AI의 영향력 가속화, 노동 시장 변화 등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변화들이 두드러졌습니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와 같은…
“AI 반도체 전쟁이 어떻게 세계 경제를 파괴할 수 있는가?” (How an AI chip war could destroy the global economy)
‘Chip War’ 저자, 크리스 밀러 교수와의 인터뷰 반도체는 “21세기 석유”이자 글로벌 경제의 생명선 대만 TSMC 리스크와 미·중 경쟁은 세계 경제를…

한국의 혁신가들을 위한 이니셔티브

세계경제포럼 이슈 및 분석

세계경제포럼의 기술/산업/경제/기후변화대응 등 분야 분석 자료들 중 한국 센터가 엄선한 자료

[참고] 웹사이트 좌측 하단의 '한글로 보기' 버튼 클릭 후 태극기 이미지를 누르시면 자료를 한글로도 보실 수 있습니다.

3 vital truths about AI literacy that will define the future
AI literacy will decide the geopolitical future – but nations are currently on diverging tracks. The lack of alignment on…
China and the US: How can the world’s two biggest economies have such different problems?
The latest Chief Economists' Outlook notes a striking contrast between cost-of-living trends in China and the US. We brought together two…
These are the Nobel Prize winners of 2025 – and why their work matters
The 2025 Nobel Prize winners have now all been announced – including three economists recognized for showing how technology drives…
Remembering Dr. Jane Goodall: Scientist, truth talker and ambassador of hope
Dr. Jane Goodall was a pioneering researcher-turned-storyteller and UN Messenger of Peace who died Wednesday, 1 October at the age…
Europe is lagging in AI adoption – how can businesses close the gap?
Physica Europe lags behind the US in AI adoption, with varying progress across EU countries, despite the European Commission's efforts…
Physical AI is changing manufacturing – here’s what the era of intelligent robotics looks like
Physical AI is driving a new phase of industrial automation, offering a powerful solution to manufacturing challenges like rising costs,…
Business acumen is the no.1 skill every people leader needs in 2025 – chief people officers explain why
The new Chief People Officers Outlook highlights business acumen as the most critical skill for people leaders in 2025. Organizations…
Chief People Officers Outlook 2025: Talent strategy amid global disruption
Chief people officers are pausing hiring and restructuring amid geo-economic uncertainty and rapid technological chang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doption, talent…

세계경제포럼 출판물

세계경제포럼의 기술/산업/경제/기후변화대응 등 분야 출간 보고서들 중 한국 센터가 엄선한 보고서

[참고] 개별 보고서 클릭시 세계경제포럼 해당 사이트로 연결됩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보고서 전문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으며, 구글 크롬 번역 기능 등을 활용시 한글로 요약 내용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4차산업혁명은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세계의 융합입니다. 4차산업혁명은 우리의 일뿐만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도 바꿀 것입니다. 속도, 규모, 범위, 복잡성 면에서 이 변화는 인류가 이전에 경험한 어떤 것과도 다를 것입니다.”

“이전의 혁명과 마찬가지로, 4차산업혁명은 세계 소득 수준을 높이고 인류의 삶의 질을 개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시에 더 큰 불평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노동 시장 교란 잠재력에서 그렇습니다. 중산층의 붕괴와 승자독식 경제는 민주주의의 불안을 가져옵니다.”

“이에 대한 대응은 통합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하며, 공공 및 민간 부문, 학계, 시민사회에 이르기까지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결국 모든 것은 사람과 가치에 달려 있습니다. 우리는 사람을 우선시하고 사람에게 힘을 실어줌으로써 우리 모두를 위한 미래를 만들어 내야 합니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창립자 –

세계경제포럼의 이니셔티브

한국의 대표 혁신가들, 2025 하계 다보스 참가

세계경제포럼이 250개 이상의 주제 별로 세계 유수 대학 등과 협업하여 매일 엄선한 글로벌 최고급 정보 플랫폼

세계경제포럼이 세계적 과제 해결을 위해 초기 단계 창업가들을 발굴하고, 파트너십을 통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플랫폼

한글로 보기